펜타시큐리티가 11년 전부터 ‘자동차 보안’을 시작한 이유

Penta_CTO

펜타시큐리티가 11년 전부터 ‘자동차 보안’을 시작한 이유
[인터뷰] 심상규 펜타시큐리티시스템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이사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전세계 커넥티드카는 오는 2020년까지 1억5200만대로, 시장이 커질 전망이다. 커넥티드카는 정보통신기술과 자동차를 연결한 것으로, 인터넷과 모바일 서비스가 가능한 차량을 말한다.

도로상황 위험경고, 실시간 내비게이션, 원격차량제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자동차도 차세대 보안 디바이스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펜타시큐리티는 2007년부터 자동차 보안 사업에 뛰어들었다. 당시에는 ‘커넥티드카’란 말이 생소했는데, 그만큼 일찌감치 자동차 보안 사업에 뛰어들었다.

심상규 펜타시큐리티 이사<사진>는 최근 <디지털데일리>와 만나 자동차 보안 사업을 일찍 시작한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자동차가 똑똑해지려면 더 많은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한다”면서 “앞으로 자동차 관련 서비스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으며, 데이터의 활용 값어치를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미 자동차 데이터를 가진 제조사들이 많다”면서 “데이터를 가진 주체는 많으나 아직까지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방법이 없다”고 사업시작 배경을 설명했다.
펜타시큐리티가 이러한 생각을 가지게 된 계기는 2007년부터 자동차 제조사들과 자동차 보안 부문에서 협력한 데 있다. 당시 회사는 제조사들과 운전석에 부착된 단자를 자동차 소프트웨어(SW)와 연결하거나, SW 업그레이드 등을 진행하면서 자동차 보안에 발을 들였다.
심 이사는 “제조사와 협력한 뒤로 2014년 정부 제안이 들어왔다”면서 “정부에서 도로공사 등에 필요한 보안 기술을 이해하도록 3년간 자문을 하고, 관련 정부사업도 했다”고 밝혔다.
커넥티드카 기술은 이제 더이상 먼 얘기가 아니다. 정부에서도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심 이사는 “세종시에서 프로젝트 일환으로 커넥티드 기술을 3000대의 차량에 적용했다”면서 “내년 만해도 몇 만대 수준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렇다면 자동차 보안 기술은 무엇일까? 향후 커넥티드카가 활성화되면 도로에 달리는 각 차량들은 서로 통신을 주고 받는다. 예를 들어 차량이 옆 차선으로 끼어들 경우, 옆 차선의 차량에 신호를 줘 사고를 막는다. 이때 해커들이 자동차 통신을 해킹해 이를 조작하지 않도록 방어하는 것이 자동차 보안 기술이다.
자동차 보안 기술은 세분화되어 있다. 현재 펜타시큐리티에서는 ▲보안통신시스템 ▲공개키반구조(PKI) 인증 시스템 ▲전기차 충전 보안시스템 ▲차량·모바일기기·클라우드 서비스 위한 보안통신 시스템 ▲차량 내부보호 시스템 ▲차량 내부 암호화키 관리 시스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존의 보안기술처럼 자동차 보안 기술도 도처에 도사린 위협을 막기 위해 세분화할 수 밖에 없다.
다만 아직까지 수익성은 크지 않다. 펜타시큐리티에서 자동차 보안이 차지하는 매출은 전체 비중 가운데 약 10~20% 차지하는 만큼 미미하다. 이 또한 처음과 비교했을 때 5~6배 성장한 수치다. 심 이사는 2020년께 수익 매출이 견고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2020년 커넥티드카가 공식적으로 궤도에 오를 것”이라면서 “전국에 커넥티드카 도로망 시스템이 어느 정도 완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자동차는 산업 특성상 완제품이 시장에 나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길다. 때문에 수익화는 2~3년 뒤부터 본격화될 것이란 것. 심 이사는 “제조사들은 자동차 테스트를 1~2년간 거친다”면서 “지금 협력을 해도 2~3년 뒤에 고객들이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펜타시큐리티는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중이다. 그는 “전세계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기업 15곳 가운데 절반 가량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국내에서는 현대기아차와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의 목표에 대해 심 박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자동차 보안기업으로 1위로 성장하는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동북아지역에서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은 전세계 시장 50~60%를 점유하는 것과 마찬가지”고 덧붙였다.
그가 동북아 지역을 노리는데는 이유가 있다. 유럽, 미국과 비교했을 때 시차가 크게 나지 않아 일하는 시간이 겹치기 때문이다. 심 이사는 “이는 중국과 일본에서도 공감할 만큼 굉장히 매력적인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자동차 보안 기업은 아직까지 우리가 유일하다”면서 “향후 후발업체들이 생겨도 그동안 쌓인 노하우가 강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 원문 보기 – 디지털데일리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5459]